한국베링거인겔하임∙한국릴리, 자디앙®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포함 만성 심부전 적응증 확대1
• 자디앙®, 치료 옵션이 부재했던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영역에서8,9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 제시
• 최초§이자 유일§하게 만성 심부전 좌심실 박출률(LVEF) 스펙트럼 전체를 포괄하는 치료제로서 국내 만성 심부전 환자의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1,2,3
2022년 7월 12일 – 한국베링거인겔하임(대표이사 마틴 커콜)과 한국릴리(대표이사 알베르토 리바)는 7월 12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자사의 SGLT-2 억제제 자디앙®(성분명: 엠파글리플로진)이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을 포함 심박출률에 무관한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한 것을 기념하여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1,2,3
이번 기자간담회는 대한심부전학회 회장 강석민 교수(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가 좌장을 맡고, 조현재 교수(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와 윤종찬 교수(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가 연자로 참여해 최초§로 만성 심부전 좌심실 박출률(LVEF) 스펙트럼 전체를 포괄하는 새로운 심부전 치료 옵션인 자디앙®의 가치와 의의에 대해 공유했다.
먼저 '거대한 미충족 의료 수요의 충족,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최초§의 치료제 자디앙®'이란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조현재 교수는 "전체 심부전 환자 중 약 50%를 차지하는4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환자는 지난 30년간 꾸준히 증가했으며,5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은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환자보다 더 많은 동반질환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또한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은 5년 이내 사망률이 65%에 달하지만7 그동안 임상적으로 유용한 치료 옵션이 극히 제한적으로 심혈관계 질환 치료에서 미충족 수요가 큰 질환이었다8,9"고 강조했다.
이어 조교수는 "심부전 치료에서 SGLT-2 억제제의 위상이 높아진 계기는 2015년 자디앙®의 심혈관계 랜드마크 임상 연구인 EMPA-REG OUTCOME® 연구결과가 공개되면서부터다. 이 결과를 통해 자디앙®은 심혈관계 질환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계 사망 감소,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감소, 신장질환 발생 위험 감소 등 심혈관계 혜택을 최초*로 확인하면서** 심부전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10 이후 자디앙®은 당뇨병과 관계없이 만성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EMPEROR-Reduced 임상 연구를 근거로 지난해 11월 국내에서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적응증을 획득하며 심부전 치료제로 영역을 확장했다.2 이어 올해 5월에는 심박출률이 40% 초과하는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환자만 포함된 EMPEROR-Preserved 임상 연구에서 심혈관계 사망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의 상대적 위험을 21% 감소시키며 1차 평가변수를 충족하여3 그동안 미충족 수요가 컸던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영역을8,9 포함, 만성 심부전 좌심실 박출률(LVEF) 스펙트럼 전체를 포괄하는 최초의§ 치료제가1 됐다"고 설명했다.
두번째 발표를 맡은 윤종찬 교수는 '만성 심부전 환자의 치료 접근, 자디앙®은 박출률과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는가?'라는 주제로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자디앙®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윤종찬 교수는 "자디앙®의 심혈관계 사망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관련 혜택은 좌심실 박출률(LVEF) 전체 스펙트럼에 걸쳐 유효했다.11"며 자디앙®은 최초§이자 유일§하게 좌심실 박출률(LVEF)과 무관하게 사용 가능한 만성 심부전 치료제"라고 강조했다. 또한 "급성 심부전 또는 비보상성 만성 심부전으로 입원한 530명을 대상으로 한 EMPULSE 연구에서 자디앙®은 위약 대비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심부전 사건 감소, 심부전 증상 개선 등 치료 효과를 확인하며 1차 평가 변수를 달성했으며# 자디앙® 투여군은 위약 대비 임상적 이점을 경험할 가능성이 36%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당뇨병 유무와 상관없이 급성 심부전 또는 비보상성 만성 심부전 환자나 심박출률이 감소 또는 보존된 경우에도 일관되게 나타났다12"고 설명했다.
윤교수는 "환자의 개인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환자 대부분의 경우는 1차 치료제로 SGLT-2 억제제 처방이 가능하다.13"며 "자디앙®을 비롯한 SGLT-2 억제제가 심부전 치료제로 유의한 임상결과를 발표하면서 주요 심부전 가이드라인에도 우선적으로 권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럽심장학회(ESC)는 2021년 심부전 가이드라인에서 자디앙®을 제시하며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환자의 초기 치료제로 SGLT-2억제제를 최고 등급인 1(LOE A)로 권고했다.14 미국 3대 심장 학회인 미국심장학회(ACC), 미국심장협회(AHA), 미국심부전협회(HFSA)에서 발표한 2022년 심부전 가이드라인은 심부전 전 단계에서부터 제2형 당뇨병이 있고 심혈관 질환을 동반하거나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SGLT-2억제제를 권고하고 있으며15 제2형 당뇨병 유무와 관계없이 증상이 있는 만성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환자에게 SGLT-2 억제제를 권고등급 1, 근거수준 A로 권고했다.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환자에서도 SGLT-2 억제제가 심혈관계 사망 및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하며 ARNi, ARB, MRA의 권고 수준인 2b보다 높은 2a 수준으로 권고했다.15
좌장을 맡은 강석민 교수는 "자디앙®은 이미 표준 치료를 받고 있는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및 좌심실 박출률(LVEF)이 40%를 초과하는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모두에서 유의미한 혜택을 보여줬다. 현재 자디앙®은 좌심실 박출률(LVEF)과 무관하게 만성 심부전 환자에서 심혈관계 사망감소 혹은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 감소 효과를 임상으로 증명한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제다"며1, "앞으로 국내 임상현장에서 심부전 치료의 새로운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마케팅 총괄 황인화 전무는 "그동안 적절한 치료제가 없어 미충족 수요가 컸던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영역에서8,9 자디앙®이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자디앙®은 1일 1회 복용의1 편리함과 용량 조절의 부담 없이 사용 가능해 앞으로 보다 쉽게 만성 심부전 환자의 관리 및 국내 심부전 치료 환경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국릴리 당뇨사업부 총괄 김계원 전무는 "자디앙®은 SGLT-2 억제제 중 최초+로 심혈관계 질환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계 사망 감소를 확인하며 당뇨병 치료에서 심장, 신장, 대사질환을 통합 관리하는 패러다임을10,++ 제시했다. 이제는 최초§로 만성 심부전 스펙트럼 포괄하는 치료제로 등극하며1 심부전 치료 영역을 선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국릴리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지금 보다 많은 환자들이 자디앙®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 본 보도자료는 의·약학적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기사 작성에 참고자료로만 활용되어야 합니다.
# 전전문 의약품의 대중광고는 관련법령에 의해 금지되어 있으므로, 본 자료의 내용이 기사 등에 사용되는 경우 제품 홍보 목적으로 오인되지 않도록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보도자료 문의
한국베링거인겔하임(주)홍보부
김소망 과장 (02-6388-8202 / hope.kim@boehringer-ingelheim.com)
자디앙® 제품 홍보 담당 (주)피알봄
박준형 팀장 (02-6490-7724 / juntipo@prbom.com)
김도희 사원 (02-6490-7738 / dhkim@prbom.com)
EMPEROR 심부전 프로그램에 대하여16,17
EMPEROR(EMPagliflozin outcomE tRial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만성 심부전 프로그램에는 당뇨병 동반 여부에 관계없이 표준치료를 받고 있는 심박출률이 보존되거나 감소된 성인 만성 심부전 환자에서 위약 대비 1일 1회 자디앙정 10mg 용량의 영향을 탐색하는 두 개의 3상, 무작위배정, 이중맹검의 임상시험이 포함되어 있다.
• EMPEROR-Reduced [NCT03057977]는 심박출률이 감소된 만성 심부전 환자(HFrEF)에서 자디앙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한다.
- 1차 평가지표: 독립적으로 판정된 심혈관계 사망이나 심부전에 의한 첫 입원이 발생하기까지 경과한 시간
- 참여 환자: 3,730명
- 종료 시점: 2020년
• EMPEROR-Preserved [NCT03057951]는 심박출률이 보존된 만성 심부전 환자(HFpEF)에서 자디앙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한다.
- 1차 평가지표: 독립적으로 판정된 심혈관계 사망이나 심부전에 의한 첫 입원이 발생하기까지 경과한 시간
- 참여 환자: 약 5,988명
- 종료 시점: 2021년
- 요약 링크(Link)
EMPOWER 프로그램에 대하여
베링거인겔하임과 일라이 릴리는 심장-신장-대사질환 영역에서 자디앙이 주요한 임상적 심혈관 사건과 신장 사건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EMPOWER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해왔다. 심장-신장-대사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환자들의 사망 원인 가운데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2,000만명가량이 이로 인해 사망한다.18 양사는 EMPOWER 프로그램을 통해 상호 연관된 이들 질환 영역에서 지식을 발전시키고 여러 장기(multi-organ)에 이득을 줄 수 있는 통합적인 치료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EMPOWER 프로그램은 9건의 임상시험과 2건의 실사용근거연구(real-world evidence, RWE)을 포함하고 있으며, 심장-신장-대사질환 환자에 대한 치료성적을 개선하려는 공동연구팀의 장기적인 의지를 확인시켜준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400,000명 이상의 성인 환자가 참여하는 등 현재까지 진행된 SGLT-2 억제제 임상 가운데 가장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연구이다.
심부전(Heart Failure)에 대하여
심부전은 심장이 전신 순환을 통해 신체가 요구하는 정도의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쇠약을 유발하는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진행성 질환이다.19 이로 인해 정체된 혈액량이 증가하여 폐 또는 말초조직에 체액이 축적(울혈)된다.20 심부전은 전 세계적으로 6천만 명 이상에 영향을 미칠만큼 널리 퍼져 있는 질환이며, 고령화에 따라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1,22
심부전에는 여러 유형이 있으며 심박출률에 따라 유형을 분류한다. 심박출률이란 심근이 이완되어 좌심실로 흘러 들어간 총 혈액량 대비 심근이 수축되어 좌심실에서 박출되는 혈액량의 비율을 뜻한다.23
•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은 심장의 좌심실이 이완되지 않고 충분한 혈액이 흘러 들지 않을 때 발생하며 체내에 공급할 수 있는 혈액량이 감소한다.23
•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은 심장의 좌심실이 효과적으로 수축하지 못해 정상 기능의 심장에 비해 전신으로 박출되는 혈액량이 감소할 때 발생한다.23
심부전 환자들은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호흡곤란과 피로를 종종 경험한다.24심부전 환자는 예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기능 손상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25
심장-신장-대사질환(Cardio-Renal-Metabolic Conditions)에 대하여
베링거인겔하임과 일라이 릴리는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심장-신장-대사질환 환자들의 치료를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들 질환은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의 환자들의 삶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사망 원인 가운데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19,22
심혈관, 신장, 대사계는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질병의 연속선 상에서 다수의 동일한 위험 인자와 병리적 경로를 공유하고 있다. 한 영역에서 기능이상이 발생하면 다른 영역의 기능이상 발생이 가속화될 수 있으며, 이는 제2형 당뇨병, 심혈관질환, 심부전, 신장질환 등 상호 연관된 질병의 발생으로 이어져 심혈관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한 영역의 건강상태가 개선되면 다른 영역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26,27,28
양사의 목표는 연구와 치료를 통해 상호 연관된 심장-신장-대사계의 균형을 회복하고 중증 합병증의 위험을 줄여 인류의 건강을 지원하는 것이다. 우리는 심장-신장-대사 질환으로 인해 건강을 위협받는 환자들을 위해 치료를 위한 다학제적인 접근과 치료격차를 줄이기 위한 투자를 지속할 것이다.
자디앙®에 대하여 (성분명: 엠파글리플로진)
자디앙®은 1일 1회 경구복용하는 선택적 SGLT-2 억제제로, 한국을 포함한 다수의 국가에서 심혈관계 사망률 감소 데이터를 허가사항에 포함하도록 승인받은 최초의 제2형 당뇨병 치료제다.29,30,31
혈당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은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심혈관계 질환이 확인된 환자에서 심혈관계 사건발생에 대한 자디앙의 영향은 '사용상의 주의사항, 10. 전문가를 위한 정보, 2) 임상시험 정보' 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디앙은 신장에서 포도당(혈당)이 혈류로 재흡수되는 것을 막아, 소변을 통해 포도당이 배출될 수 있도록 작용하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낮춘다. 또한, 자디앙을 투여하면 체내 나트륨 배출을 증가시키고 혈관 내 체액용적을 감소시킨다. EMPA-REG OUTCOME 임상 연구에서 관찰된 것처럼 자디앙은 체내 혈당, 나트륨, 수분의 대사에 변화를 유도해 심혈관사망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32
한국베링거인겔하임(주)에 대하여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연구개발 중심의 선두 제약기업인 베링거인겔하임의 한국법인으로, 1976년 설립되어 현재 250여 명의 임직원이 인체의약품과 동물약품 분야에서 혁신적인 의약품 공급을 통해 현재와 미래세대의 삶을 개선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질환 영역에서 혁신을 통한 가치를 창조해 나가고 있다. 인체의약품 내 심혈관대사질환, 항암, 호흡기질환, 면역, 중추신경계 분야에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관련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및 축산동물의 질병예방과 치료를 위한 동물약품 산업에서도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성실한 기업 시민으로서 지난 30년간 한국 의학계의 학술 발전을 위한 분쉬의학상을 후원하고 있으며 자선 기부, 자원봉사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에 관한 추가 정보는 https://www.bikr.c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릴리
한국릴리(대표: 알베르토 리바, http://www.lilly.co.kr/)는 연구개발 중심의 세계적인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의 한국법인이다. 한국릴리는 당뇨병, 암, 면역질환, 통증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선진 신약들을 국내에 공급하고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인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혁신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에 헌신하며 지속적인 자원 봉사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해 오고 있다.
참고
§. 2022년 5월 24일 식약처 허가 기준
*. 2015년 9월 EMPA REG OUTCOME 연구 발표 기준
**. 자디앙®정은 심혈관계 질환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 사망 감소,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및 신장 질환 위험 감소를 목적으로 국내에서 허가 받지 않았습니다.
#. 자디앙®정은 급성 심부전 또는 비보상성 만성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의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및 증상 개선으로 국내 허가 받지 않았습니다.
+. 2015년 9월 EMPA REG OUTCOME 연구 발표 기준
++. 자디앙®정은 심혈관계 질환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 사망 또는 심혈관계 사건 발생 및 신장 질환 위험 감소를 목적으로 국내에서 허가 받지 않았습니다.
±. 자디앙®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사망 감소로 국내 허가 받지 않았습니다.
1. 자디앙® 정 10밀리그램 제품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안전나라. http://nedrug.mfds.go.kr/(accessed on 2022-05-30)
2. Packer M, Anker SD, Butler J, et al. Cardiac and Renal Outcomes With Empagliflozin in Heart Failure With a Reduced Ejection Fraction. N Engl J Med. 2020;383:1413–24.
3. Anker SD, Butler J, et al. Empagliflozin in Heart Failure with a Preserved Ejection Fraction. N Engl J Med. 2021 Oct 14;385(16):1451-1461.
4. Dunlay SM, Roger VL, Redfield MM. Epidemiology of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Nat Rev Cardiol. 2017 Oct;14(10):591-602. doi: 10.1038/nrcardio.2017.65. Epub 2017 May 11.
5. Vasan R et al. JACC Cardiovasc Imaging. 2018;11:1
6. Camilla Hage et al., J Card Fail. 2020 Dec;26(12):1050-1059
7. Owan T et al. N Engl J Med. 2006;355:3
8. Butler J, Fonarow G, Zile M, et al. Developing therapies for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s. JACC Heart Fail. 2014 Apr;2(2):97–112.
9. Shah SJ, Borlaug B, Kitzman D, et al. Research priorities for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Circulation. 2020;141:1001–26.
10. Zinman B., et al. Empagliflozin, Cardiovascular Outcomes, and Mortality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5;373:2117.
11. Javed Butler et al., Eur Heart J. 2022 Feb 3;43(5):416-426
12. Adriaan A Voors et al., Nat Med. 2022 Mar;28(3):568-574
13. Daniela Tomasoni et al, Eur J Heart Fail. 2021 Dec 10 14. TA McDonagh, et al. 2021 ESC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Developed by the Task Forc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With the special contribution of the Heart Failure Association (HFA) of the ESC, Eur Heart J. 2021 Sep 21;42(36):3599-3726
15. Heidenreich PA, et al. 2022 AHA/ACC/HFS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eart failure: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Joint Committe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J Am Coll Cardiol. 2022;79:e263–e421.
16. ClinicalTrials.gov. EMPagliflozin outcomE tRial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EMPEROR-Reduced). Available at: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3057977. Accessed: May 2022.
17. ClinicalTrials.gov. EMPagliflozin outcomE tRial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EMPEROR-Preserved). Available at: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3057951. Accessed: May 2022.
18.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The Lancet. 2016; 388(10053):1459–544.
19. American Heart Association. What is Heart Failure? Available at: https://www.heart.org/en/health-topics/heart-failure/what-is-heart-failure. Accessed: May 2022.
20. American Heart Association. Types of Heart Failure. Available at: https://www.heart.org/en/health-topics/heart-failure/what-is-heart-failure/types-of-heart-failure. Accessed: May 2022.
21. Andersehttps://www.heart.org/en/health-topics/heart-failure/what-is-heart-failuren MJ, Borlaug BA.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current understandings and challenges. Curr Cardiol Rep. 2014;16(7):501.
22. GBD 2017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54 diseases and injurie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199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Lancet. 2018;392(10159):1789–858.
23. American Heart Association. Ejection Fraction Heart Failure Measurement. Available at: https://www.heart.org/en/health-topics/heart-failure/diagnosing-heart-failure/ejection-fraction-heart-failure-measurement. Accessed: May 2022.
24. Calvert MJ, Freemantle N, Cleland JGF. The impact of chronic heart failur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ata acquired in the baseline phase of the CARE‐HF study. Eur J Heart Fail. 2005;7(2):243–51.
25. Sarnak MJ. A patient with heart failure and worsening kidney function. Clin J Am Soc Nephrol. 2014;9(10):1790–98.
26. García-Donaire JA, Ruilope LM. Cardiovascular and Renal Links along the Cardiorenal Continuum. Int J Nephrol. 2011;2011:975782.
27. Leon BM, Maddox TM.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Epidemiology, biological mechanisms, treatment recommendations and future research. World J Diabetes. 2015;6(13):1246–58..
28. Thomas M, Cooper M, Zimmet P. Changing epidemiolog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associated chronic kidney disease. Nat Rev Nephrol. 2015;12:73–81.
29. Jardiance® (empagliflozin) tablets, U.S. Prescribing Information. Available at: https://docs.boehringer-ingelheim.com/Prescribing%20Information/PIs/Jardiance/jardiance.pdf. Accessed: May 2022.
30. Jardiance® (Full Prescribing Information). Mexico;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2017.
31. Boehringer Ingelheim. Press release. US FDA approves Jardiance® (empagliflozin) to treat adults living with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Available at: https://www.boehringer-ingelheim.us/press-release/us-fda-approves-jardiance-empagliflozin-treat-adults-living-heart-failure-reduced. Accessed: May 2022.
32. Vallon V and Thompson SC. Targeting renal glucose reabsorption to treat hyperglycaemia: the pleiotropic effects of SGLT2 inhibition. Diabetologia. 2017;60(2):215-225.